으로 끝나는 네 글자의 단어: 37개

한 글자:1개 두 글자:78개 세 글자:40개 🍓네 글자: 37개 다섯 글자:7개 여섯 글자 이상:2개 모든 글자:165개

  • 오차지 : (1)발해의 대수령(?~?). 725년 당에 하정사로 파견되었다.
  • 여취여 : (1)취한 듯하기도 하고 꿈 같기도 함.
  • 침상일 : (1)잠을 자면서 잠깐 꾼 꿈.
  • 사례훈 : (1)조선 선조 때 이항복이 ≪예기≫ 가운데 사례의 요점을 뽑아서 편찬한 책. 많은 사람이 관혼상제의 근본을 모르고 그 형식에 대해서만 시비ㆍ변론함을 개탄하여 지은 책으로, 광해군 14년(1622)에 김지남(金止男)이 간행하였다. 1권 1책의 인본.
  • 사몽비 : (1)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 이몽가 : (1)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규범 표기는 ‘비몽사몽’이다.
  • 한단지 : (1)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심기제(沈旣濟)의 ≪침중기(枕中記)≫에서 나온 말이다.
  • 치인설 : (1)어리석은 사람이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허황된 말을 지껄임을 이르는 말.
  • 이몽사 : (1)‘비몽사몽’의 방언. 제주 지역에서는 ‘이몽몽’으로도 적는다.
  • 호접지 : (1)나비에 관한 꿈이라는 뜻으로, 인생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중국의 장자(莊子)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어 훨훨 날아다니다가 깨서는, 자기가 꿈에 호랑나비가 되었던 것인지 호랑나비가 꿈에 장자가 되었는지 모르겠다고 한 이야기에서 유래한다. ≪장자(莊子)≫ <제물론(齊物論)>에서 나온 말이다.
  • 시민 계 : (1)발전적인 민주 사회를 형성하고 훌륭한 시민의 자질을 기르기 위하여 봉건적 인습, 종교적 전통에 의한 무지 및 미신 따위를 타파하고 시민 의식을 가르쳐서 깨우침. 또는 깨우치게 하는 일.
  • 민중 계 : (1)국가와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사람들 중에서, 지식수준이나 사회의식 등이 낮은 사람들을 가르치는 일. 보통 피지배층을 이루는 노동자, 농민 등을 가르쳐 의식 수준을 높이는 일을 말한다.
  • 무산지 : (1)무산(巫山)의 꿈이라는 뜻으로,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르는 말. 중국 초나라의 양왕(襄王)이 낮잠을 자다가 꿈속에서 무산신녀(巫山神女)를 만나 즐거움을 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한다.
  • 일취지 : (1)인생이 덧없고 영화(榮華)도 부질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당나라 소년 노생(盧生)이 도사인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베고 잠이 들어 부귀영화를 누리며 80세까지 산 꿈을 꾸었는데, 깨어 보니 아까 주인이 짓던 조밥이 채 익지 않았더라는 데서 유래한다.
  • 주사야 : (1)밤낮으로 깊이 생각하고 헤아림. (2)낮에 생각한 것이 밤에 꿈으로 나타남.
  • 화음계 : (1)조선 고종 때의 역관 이응헌(李應憲)이 쓴 중국어 회화 책. 고종 20년(1883)에 간행하였다. 2권 1책의 인본.
  • 올몽졸 : (1)귀엽게 생긴 크고 작은 덩어리들이 고르지 않고 빽빽하게 벌여 있는 모양.
  • 야몽야 : (1)‘야금야금’의 방언
  • 동상각 :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 농촌 계 : (1)농촌의 생활 조건을 개선하고 농민의 교양 수준을 높이기 위하여 농촌ㆍ농민을 계발하는 일.
  • 오하아 : (1)무력(武力)은 있으나 학식이 없는 사람을 놀림조로 이르는 말. 중국 삼국 시대 오나라의 노숙(魯肅)이, 무략(武略)에만 뛰어난 인물이라고 알고 있던 여몽(呂蒙)을 오랜만에 만나 이야기를 나누어 보니 학문도 깊으므로 감탄하여 이전의 여몽이 아니라고 말하였다는 데서 유래한다.
  • 이몽지 : (1)‘비몽사몽’의 방언
  • 산학계 : (1)1299년에 중국 원나라 주세걸이 지은 수학책. 주로 해법(解法)에 따라 분류되어 있으며, 대부분 산술을 취급하고 있으나, 하권(下卷)에는 대수학의 일종인 천원술을 기록하고 있다. 모두 3권.
  • 비몽사 : (1)완전히 잠이 들지도 잠에서 깨어나지도 않은 어렴풋한 상태.
  • 남가일 : (1)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화서지 : (1)낮잠 또는 좋은 꿈을 이르는 말. ≪열자≫의 <황제편(黃帝篇)>에 나오는 말로, 고대 중국의 황제가 낮잠을 자다 꿈을 꾸었는데 화서라는 나라에 가서 그 나라의 어진 정치를 보고 깨어나 깊이 깨달았다는 데서 유래한다.
  • 소학편 : (1)조선 중종 32년(1537)에 최세진이 왕에게 진상하여 펴낸 책. 중국어 교재인 듯하나 오늘날은 전하지 않는다.
  • 일장춘 : (1)한바탕의 봄꿈이라는 뜻으로, 헛된 영화나 덧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2)단가의 하나. 세상 공명(功名) 하직하고, 부귀영화도 일장춘몽에 지나지 않으니 경치나 찾아다니며 흥취를 돋우자는 내용이다.
  • 남가지 : (1)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부귀영화를 이르는 말. 중국 당나라의 순우분(淳于棼)이 술에 취하여 홰나무의 남쪽으로 뻗은 가지 밑에서 잠이 들었는데 괴안국(槐安國)의 부마가 되어 남가군(南柯郡)을 다스리며 20년 동안 영화를 누리는 꿈을 꾸었다는 데서 유래한다.
  • 몽중설 : (1)꿈속에서 꿈 이야기를 한다는 뜻으로, 무엇을 말하는지 종잡을 수 없음을 이르는 말.
  • 동상이 : (1)같은 자리에 자면서 다른 꿈을 꾼다는 뜻으로, 겉으로는 같이 행동하면서도 속으로는 각각 딴생각을 하고 있음을 이르는 말. (2)겉으로는 지지하고 받드는 척하면서 속으로는 반대함을 이르는 말.
  • 허실상 : (1)허한지 실한지가 분명하지 아니함.
  • 장주지 : (1)나와 외물(外物)은 본디 하나이던 것이 현실에서 갈라진 것에 불과하다는 이치를 비유적으로 설명하는 말. 장주가 꿈에 나비가 되었다가 깬 뒤에 자기가 꿈속에서 나비가 되었는지 원래 나비였던 자기가 꿈속에서 장주가 되었는지 알 수 없게 되었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로, 장자 사상의 으뜸을 이룬다.
  • 대중계 : (1)노동자, 농민을 비롯한 근로 계층의 대중을 사상적ㆍ문화적으로 가르쳐 깨우침.
  • 상하상 : (1)윗사람과 아랫사람이 서로 속임.
  • 여진여 : (1)꿈인지 생시인지 모를 지경임.
  • 노생지 : (1)인생과 영화의 덧없음을 이르는 말. 서기 731년에 노생(盧生)이 한단이란 곳에서 여옹(呂翁)의 베개를 빌려 잠을 잤는데, 꿈속에서 80년 동안 부귀영화를 다 누렸으나 깨어 보니 메조로 밥을 짓는 동안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한다.

초성이 같은 단어들

(총 99개) : 마, 막, 만, 맏, 말, 맑, 맗, 맘, 맛, 망, 맞, 맡, 맣, 매, 맥, 맨, 맬, 맴, 맵, 맹, 먀, 머, 먹, 먻, 먼, 멀, 멈, 멋, 멍, 멎, 메, 멕, 멘, 멜, 멤, 멧, 멩, 멫, 며, 멱, 면, 멸, 몀, 몃, 명, 몇, 모, 목, 몫, 몬, 몯, 몰, 몱, 몸, 못, 몽, 뫃, 뫼, 뫽, 묄, 묌, 묏, 묗, 묘, 묫, 무, 묵, 묶, 문, 물, 뭀, 뭄, 뭇, 뭉, 뭍, 뭐, 뭔, 뭘, 뭣, 뭬, 뮈, 뮐, 뮤, 뮬, 므, 믄, 믈, 믐, 믜, 미, 믹, 민, 밀, 밇, 밈, 밋, 밍, 및, 밑

실전 끝말 잇기

몽으로 시작하는 단어 (586개) : 몽, 몽가뜨리다, 몽가리내, 몽강저, 몽개, 몽개몽개, 몽개비, 몽결초한송, 몽계필담, 몽고, 몽고고원, 몽고메리, 몽고메리 베레, 몽고메리 젖꽃판 결절, 몽고문, 몽고 문자, 몽고문하다, 몽고바람, 몽고반, 몽고반점, 몽고 베티, 몽고뽕나무, 몽고 세석기문화, 몽고소, 몽고안, 몽고야생말, 몽고양, 몽고어, 몽고어군, 몽고어파 ...
몽으로 시작하는 단어는 586개 입니다. 그리고 이 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처럼, 몽으로 끝나는 네 글자 단어는 37개 입니다.

🦉 이런 동물 속담도 있었네?